본문 바로가기

독서노트

(6)
퍼실리테이션이 무엇인가? 민주적 결정 방법론 3부 - 샘케이너등 Part 5 종결에 다다르기 CH 22 명확한 결정 규칙의 중요성 - 집단의사결정의 중요한 구조적 요소 찾기 결정 지점을 기준으로 아래 두개 영역으로 구분 논의의 영역 (이상세계)- 가능성 탐색, 모델 만들기, 상상속 시도, 가설을 세우고, 추론하고, 대안 평가하고, 계획 수립 실행의 영역 (현실세계)- 실현 될 수 있도록 책임, 계약에 서명하고, 사람을 고용하고, 조직을 개편하고, 사무실을 옮김 결정 지대에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문제 많은 그룹이 결정 규칙을 먼저 정하지 않은 채 문제 해결 시도 결정이 이루어졌다는 것을 명확하고 명시적인 표시가 있어야함. 회의를 종료하기 위한 명확한 규칙이 필요 결정 규칙이 없을 때 나타나는 현상 우는 아이 젖준다. 다음 아젠다에 넣자고 하고 밀려남 몇몇 사람만 남아 문..
퍼실리테이션이 무엇인가? 민주적 결정 방법론 2부 - 샘케이너 등 Part 4 지속 가능한 동의를 만드는 퍼실리테이션 무엇이 동의를 지속가능하게 하는가? - 공유된 이해 ← 인내심과 노력 공유된 이해의 틀을 형성하기 위해 다투게 되기때문에 절차는 느리게 흘러간다. 그러나 실행의 쾌통이 된다. 인내심과 지속적인 노력을 통해 결과에 도달하는데 공동 책임을 지게 됨. 지속가능한 동의를 만들기 위하여 확산, 으르렁, 수렴 지대에서 각각의 기법을 사용해야 한다. CH 18 확산지대에서의 퍼실리테이션 - 온전한 참여를 장려하는 원칙, 기술, 도구 확산 지대에 대한 이해 다양성을 지닌 그룹이 복잡한 문제를 풀려고 할때 관점이 통일 되지 않음 → 차이를 가시화 할 필요 있음. → 목록 작성, 분류, 개념 정의 → 이를 종합하여 확산적 사고 확산 지대에서의 퍼실리테이션 목표 1) 다루..
퍼실리테이션이 무엇인가요? 민주적 결정방법론 1부 - 샘케이너 등 Part 1 참여의 핵심 원리 CH1 집단의사 결정 과정의 역동 사고의 유형 확산적사고수렴적 사고 대안생성 대안평가 자유로운 열린토론 요점 요약 다양한 관점의 수집 항목별 의견 분류 심판연기 심판 실행 집단의사 결정 과정의 현실 익숙한 패턴에서 멤도는 초기 단계 성급한 결정 → 빠른 결정 뚜렷하지 않은 대안 → 명백한 해결책 없음 전형적인 대안 → 부정적인 의견에 바이어스됨 대안없는 확산 → 회의에서 많이 목격됨 이상적인 의사 결정 과정 확산 → 수렴 현실에서 의사 결정 과정 → 확산만 함, 경청X, 그만 끝내자고 재촉 의도적 방관 → 논의에서 벗어나 진행 이미정해진 결론 → 주관하는 사람이 결정해버리는 경우 그래서 확산 → 으르렁 지대 (통합을 이루어 가는 어려움) → 수렴적 사고 (참여적 의사 결정의..
독학은 어떻게 삶의 무기가 되는가? - 야마구찌 슈 #독학은어떻게삶의무기가되는가 #야마구찌슈 #올해22번째책 #밀리의서재 에서 다른 책 보러 갔다가 후기가 좋아서 읽게 된 책. 요즘은 전자책에 형광펜이랑 메모 기능과 언제 어디서든 읽을 수 있다는 편의성 때문에 전자책을 많이 보게 된다. 이 책은 평소에 내가 새로운 영역을 공부할 때 하던 방법을 쳬계적으로 정리해 준 느낌의 책이다. 내용이 많지 않아, 쉽게 잘 읽힌다. 저자는 독학의 필요성을 4가지 정도로 서술하고 있다. 1. 학교에서 배운 지식이 시대에 뒤떨어 진다 (대학 시절부터 공감하던 내용, 교육의 방향이 바뀔 필요가 있다) 2. 사회 구조가 근본적으로 바뀌는 혁신의 시대가 도래했다. (내 직업상 심히 공감하고 있음) 3. 노동 기간은 길어지고, 기업 전성기는 짧아진다. (다양한 지식과 경험이 필요..
OKR & Growth OKR로 빠르게 성장하기 OKR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는 책. 쉽게 읽히고, 공감도 잘 가는 내용들로 구성 되어 있다. 메모 1. 피터 드러커 -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자신의 과업으로 조직 목표 달성에 기여하는 것을 경영이라고 한다. 2. 테일러 방식의 O는 큰 성과를 만들기 위한 도전의 대상이 아니라, 평가를 위한 기준이 되어 버린다. 3. IMBO는 우리가 어디를 향해 가고 있는지, 우리가 어떻게 잘 가고 있는지를 알수 있을때 동기가 발현 된다고 생각했다. 목표는 높게 제시하되 달성은 사람들이 스스로 책임지고 조직 목표에 기여할 방법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매슬로 최상위 욕구인 "자아 실현의 욕구" 를 반영한 것이다. 4. 앤디 그로브는 2가지를 강조했다. 측정 가능한 결과, 결과 수준 (도전적인 수..
거인의 노트 (김익한) 후기 #거인의노트 #김익한 #올해16번째책 #밀리의서재 밀리의서재에서 책 고르다가 표지에 유투브에서 봤던 분이 지은 책이길래 조금 읽다가 보니, 평소에 관심이 좀 있던 분야인 메모를 다룬 책이라 완독을 하게 된 책, 공감하는 내용이 많아서 괜찮은 책이다. 김익한 교수님의 메모, 기록, 공부, 생각에 대한 경험이 담긴 책으로 볼 수 있겠다. 근데 제목이 "거인의 노트" 라서 읽기 전에 살짝 거부 반응이 있긴 했으나, "타이탄의 도구들" 이란 책도 있었으니 이 정도는 애교로 넘어 갈 수 있지 ^^; 평소에 내가 생각하던 것을 글로 많이 표현도 해주셨다. 특히, #메모 와 #기록 의 차이를 알 수 있고, 내가 왜 기록을 못하는지도 알 수 있었음. 평소에 등한 시 했던 기록하려고 노력해야겠다는 생각이 많이 드는 책이..